인지발달
1) 주요특성
인지는 인간의 정신적 사고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출생에서 2세까지 영아의 인지발달은 영아가 언어적인 기술을 획득하는 것처럼 사고와 추론 기술을 발달시키는 과정을 말합니다. 인지적 성장은 영아기에 급속도로 이루어지는데 피ㅣ아제는 인지발달 단계에서 영아기를 감각운동기로 명명해왔습니다.
2) 피아제의 감각운동기
이 시기는 영아는 감각과 운동 간의 관계를 발견하고 이를 조절하는 것을 배웁니다. 감각운동기는 6개의 하위단계로 나뉩니다.
- 반사적 운동기(출생~약 1개월): 빨기, 잡기 등의 반사적 행동 양식을 나타냅니다.
- 1차 순환 반응기(1~4개월): 시각, 청각적 변별 능력을 나타냅니다. 이전 단계의 반사적 행동에서 초보적 수준이지만 의도성을 띤 조절 행동으로 변화합니다. 행위 도중 우연히 흥미 있는 결과가 나타나면 이를 반복하려고 합니다.
- 2차 순환 반응기(4~8개월): 의도적으로 어떠한 행동을 시도합니다. 흥미 있는 결과를 기대하며 반복하여 행동하기를 즐깁니다. 수단과 목적과의 관계에 대한 초보적인 지식을 갖게 됩니다.
- 2차 순환 반응의 협응기(8~12개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단을 사용합니다. 수단과 목표를 구분한 의도적 행위를 통해 문제 해결을 시도합니다.
- 3차 순환 반응기(12~18개월): 새로운 결과를 위해 다양한 탐색 행동을 시도합니다. 시행착오가 나타납니다.
- 정신적 표상(18~24개월): 시행착오를 거치지 않고 원인과 결과를 추론하는 능력이 생깁니다. 기초적인 상징 체계를 사용하기 시작하며 지연 모방이 나타납니다.
3) 대상영속성
감각운동기에 획득하게 되는 중요한 능력중의 하나인 대상영속성은 사람이나 사물이 보이지 않더라도 계속 존재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입니다. 첫째, 자아는 주변 세계와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독립된 존재이며 둘째, 주변의 물체는 시야에 있지 않다 하더라도 계속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감각운동기가 끝나는 2세 정도의 영아는 대상영속성 개념을 지니고 있습니다.
4) 교사의 역할
- 놀잇감이나 자료는 영아가 독립적으로 사용하고 가지고 놀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위해 교사는 영아가 놀잇감을 볼 수 있고, 잡을 수 있는 위치에 두어야 합니다.
- 영아의 시각발달을 위해 초점을 맞출 수 있는 알맞은 거리에 사물을 두며 영아의 시선을 끌 수 있는 매력적인 것으로 준비합니다.
- 교사는 영아를 자극함으로써 영아와 상호작용을 해줍니다. 영아가 다양한 위치에서 움직이고 볼 수 있도록 여러 위치에서 손뼉을 쳐주는 등 영아가 머리를 들어 소리 위치를 볼 수 있게 합니다.
- 영아는 행동을 모방하는 광범위한 능력을 나타내므로 이 시기에는 교사가 영아와 마주 앉아 여러 가지 손동작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초기의 모방은 얼굴 표정이나 말소리, 그리고 의사소통의 다른 측면들이 주로 많으나 6개월 경에는 다른 사람의 손동작도 모방합니다.
- 숨겨진 사물에 대한 영아의 이해는 까꿍 놀이와 같은 놀이에서도 나타납니다. 까꿍 놀이는 7~8개월 영아가 가장 재미있어하는 놀이입니다. 이 놀이는 영아가 눈앞에서 사라진 사물이 아주 가버린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배우도록 하므로 교사가 함께 놀이해주도록 합니다.
- 영아는 어떤 행동에 대한 칭찬이나 보상을 기대하므로 적절하게 반응해줍니다.
- 한 가지 용도의 자료나 놀잇감보다는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개방적인 놀잇감을 제공합니다. 영아가 이런 놀잇감들을 다양하게 사용하도록 격려합니다. 또한 영러 가지 방법으로 실험해 보도록 하고 질문해봅니다.
- 산책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줌으로써 바람, 햇빛, 비, 눈 등의 자연현상을 느끼고 즐길 수 있게 합니다.
- 영아가 어떠한 문제를 해결할 때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해 볼 수 있도록 격려하고, 도움이 필요할 때 영아가 무엇을 해야 할지 생각하도록 도와줍니다.